EBS 교양 프로그램에서는 아이들의 창의력과 자율성을 키우기 위해 ‘장난감 없는 환경’에서 아이들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실험한 적이 있습니다. 이 실험에서는 일정 기간 동안 장난감을 치우고, 아이들이 직접 놀이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관찰했습니다. 그 결과, 아이들의 창의력, 사회성, 집중력 등이 향상되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장난감을 없애는 것이 아이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1. EBS 실험에서 진행된 '장난감 없애기' 프로젝트
EBS 교양 프로그램에서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일정 기간 동안 장난감을 치우고 아이들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관찰하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.
1) 실험의 배경과 목적
- 요즘 아이들은 너무 많은 장난감에 둘러싸여 있으며, 이는 놀이의 질을 낮출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습니다.
- 장난감을 없앴을 때, 아이들이 놀이를 창의적으로 재창조하는지 관찰하고자 했습니다.
2) 실험 진행 방식
-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일정 기간 동안 모든 장난감을 치움
- 아이들이 주변 환경(책상, 의자, 천, 자연물 등)을 활용해 스스로 놀이를 만들도록 유도
- 교사와 부모가 아이들의 변화를 기록하고 분석
2. 장난감 없는 환경이 아이들에게 미친 영향
실험 결과, 장난감이 없어진 환경에서 아이들은 여러 가지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습니다.
1) 창의력과 상상력 향상
- 기존의 정해진 장난감이 없으니, 아이들이 새로운 놀이 방법을 스스로 만들어 냄
- 예를 들어, 책상을 배 위로 설정하고 해적 놀이를 하거나, 의자를 연결해 버스를 만드는 등 놀이 방식이 창의적으로 변함
2) 사회성과 협력 능력 증가
- 장난감 없이 놀다 보니, 친구들과 자연스럽게 협력하고 소통하는 능력이 향상됨
- 놀이를 함께 만들면서 의견을 조율하고, 역할을 나누는 과정이 많아짐
3) 집중력과 문제 해결 능력 강화
- 기존 장난감은 단순히 기능에 맞게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지만, 장난감이 없으니 더 깊이 생각하며 놀이를 구성
- 놀이를 만들면서 자연스럽게 문제 해결 능력이 향상됨
4) 정서적 안정과 주도성 발달
- 장난감이 없어진 후 초기에는 "뭐하고 놀아야 할지 모르겠다"는 반응이 나왔지만, 시간이 지나면서 스스로 놀이를 찾는 능력이 향상됨
- 외부 자극(스마트폰, 장난감 소리 등)이 줄어들면서 차분해지고 감정 조절 능력이 발달
3. 장난감 없는 환경이 꼭 좋은 것일까? (장단점 분석)
장난감을 없애는 것이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며, 적절한 균형이 필요합니다.
1) 장난감을 없앨 때의 장점
✅ 창의력과 문제 해결 능력 향상
✅ 친구들과의 협력과 소통 증가
✅ 집중력 향상과 정서적 안정 도움
2) 장난감을 완전히 없앨 때의 단점
❌ 초기에는 놀이 방법을 몰라 혼란을 겪을 수 있음
❌ 특정한 기술을 익히는 데 도움을 주는 장난감(블록, 퍼즐 등)이 부족하면 학습 기회가 줄어들 수 있음
❌ 적절한 놀이 도구 없이 무조건 장난감을 없애면 아이들이 흥미를 잃을 수도 있음
➡ 결론: 장난감을 완전히 없애기보다는, 놀이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장난감 개수를 줄이고 창의적인 놀이를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
4. 부모와 교사가 실천할 수 있는 방법
EBS 실험에서 나타난 긍정적인 효과를 일상에서도 실천할 수 있습니다.
1) 장난감을 점진적으로 줄이기
- 모든 장난감을 한꺼번에 치우기보다, 점차 줄이면서 아이가 자연스럽게 창의적인 놀이로 전환할 수 있도록 유도
- ‘한 달에 한 번 장난감 바꿔놓기’ 방법도 추천 (새로운 놀이 방식 탐색 기회 제공)
2) 자연물과 일상 용품을 놀이 도구로 활용
- 나뭇가지, 종이상자, 천 조각 등 다양한 자연물과 일상 용품을 놀이에 활용하도록 유도
- 예: 박스를 자동차로 만들기, 나뭇잎으로 그림 꾸미기
3) 아이가 스스로 놀이를 만들도록 격려하기
- 부모나 교사가 놀이 방법을 미리 정해주기보다, 아이가 스스로 놀이를 창조할 수 있도록 기다려 주기
- 아이가 놀이를 스스로 만들었을 때 칭찬하고 격려하기
4) 디지털 기기 사용 줄이기
- 스마트폰, 태블릿 등의 사용 시간을 줄이고, 자연 놀이나 신체 놀이를 늘려주는 것이 중요
결론: 장난감을 줄이면 아이들은 더 창의적으로 변한다!
EBS의 실험을 통해 장난감을 없애는 것이 아이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. 창의력, 사회성, 집중력 등이 향상되었으며, 아이들은 스스로 놀이를 창조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었습니다. 하지만 장난감을 완전히 없애기보다는, 적절한 놀이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우리 아이에게 맞는 놀이 환경을 만들어 주고 싶다면, 장난감 줄이기부터 시작해 보세요!